Department of Nursing
인간존중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ㆍ증진시킬 수 있는 통합형 간호인 양성 | |||||
| |||||
교육목표 |
| 3주기 | 4주기 | ||
인간애와 봉사정신을 실천하는 간호인 | 1.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대상자의 안녕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봉사 태도를 갖추어 치료적 돌봄을 실천한다. | 1. 전문직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확립한다. | |||
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역량 있는 간호인 | 2. 전인간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간호지식을 습득하여 간호술의 통합 적용능력을 연마한다. | 2. 간호학과 타 학문 분야의 지식을 융합한다. | |||
3. 간호윤리를 바탕으로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어 보건의료팀과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한다. | 3. 인구집단 건강관리를 주도한다. | ||||
4. 국제화시대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직 간호사로서 창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다. | 4. 국내외 보건의료 환경변화에 대응한다. | ||||
비판적 사고와 창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간호인 | 5. 창의적ㆍ비판적 사고를 통하여 간호 실무에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다. | 5. 비판적 사고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문제해결 능력을 갖는다. | |||
6. 간호의 과학적 발전을 위해 창조적인 간호연구수행 능력을 갖춘다. | 6. 보건 의료팀과 협력하고, 리더십을 발휘한다. | ||||
7. 효율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리더십 능력을 함양한다. |
3주기 |
| 4주기 | ||
핵심역량 | 학과프로그램 학습성과 | 핵심역량 | 학과프로그램 학습성과 | |
1.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돌봄과 봉사능력 | 1. 통합형 간호인으로서 돌봄과 봉사능력을 발휘한다. | 1. 학문의 융합적 사고 역량 | 1. 간호학문과 다양한 학문분야의 지식을 응용한다. | |
2. 전인간호 제공을 위한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| 2. 다양한 교양지식과 전공 지식에 근거한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한다. | |||
2.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통합적 간호 역량 | 2. 임상추론을 통해 간호상황에 적합한 통합적 간호를 제공한다. | |||
3. 대상자의 간호 상황에 따른 핵심 간호술을 선택하여 실행한다. | ||||
3. 인구집단 건강관리 역량 | 3.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인구집단 건강을 관리한다. | |||
3. 대상자 건강 개선을 위한 전문분야 간 의사소통과 협력 능력 | 4. 언어적,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한다. | |||
4. 간호전문직 표준, 법, 윤리에 따른 간호수행 역량 | 4. 법과 윤리에 따라 간호를 수행한다. | |||
5.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분야 별 업무 조정 및 협력관계를 설명한다. | ||||
5. 질 관리를 통한 안전한 환경제공 역량 | 5. 안전과 질 향상 원리를 적용한다. | |||
4.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능력 | 6.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임상적 추론을 실행한다. | |||
5. 간호전문직 발전을 위한 법적, 윤리적 책임 인식 능력 | 7. 간호전문직의 표준을 이해하고 확인한다. | |||
6. 협력과 리더십 역량 | 6.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의료팀과 협력하고 자원을 활용한다. | |||
8. 간호실무의 법적, 윤리적 기준을 이해하고 간호실무에 통합한다. | ||||
7. 개인과 전문직 발전을 위한 리더십을 개발하고, 활동에 참여한다. | ||||
6. 간호목표 달성을 위한 리더십 능력 | 9. 간호리더십의 원리를 이해하고 리더십을 발휘한다. | |||
7. 간호실무의 과학적 발전을 위한 연구수행 능력 | 10. 간호연구를 기획하고 수행한다. | |||
7. 보건의료 정보 및 기술 활용 역량 | 8. 정보통신과 최신 보건의료기술을 활용한다. | |||
8.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변화 대응 능력 | 11.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변화를 인지한다. |